등산/산악용 GPS 활용법

[스크랩] GPS 용어 Track과 Route의 개념

홀로산꾼 2007. 12. 14. 21:38

 Track Log, Way Point,POI,Route,Heading 의 개념을  정리해 봅니다..

우선 Track을 영어 사전에서 찾아보면 자취,지나간자국 이라고 설명이 나와있읍니다.

다음 Route 를 찾아보면 길,통로,노선,경로  이라고 나와 있읍니다.

처음 GPS를 대하시는 분은 이 개념이 머리에 팍 안들어 옵니다.

근데 단어 뜻 그대로 이해 해 봅시다.

지나간 자국(자취)은 어디에서 어디로 가야하는  의  의미이며 통로 와는 의미가 틀림니다.

즉 통로는 정해진 지점(waypoint) 과 지점(waypoint)의 사이의 통로,경로 Route라고

이야기 합니다....이 통로를 사람이 걸었을때 걸어서 생긴 자취,흔적을 트랙(Track)이라 일컷는 것이지요.

그럼으로 통로,경로(Route)에는 반드시 그 통로,경로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요소인 지점(WayPoint)이 있어야

합니다. 즉 통로,경로(Route)지점(Waypoint)과 지점(waypoint)이 없으면 통로,경로(Route)가 구성 될 수

없음을 알수있읍니다. ******Way Point와 POI(Point Of Interest)는 같은 의미입니다, 영어 단어 그대로

해석하면 지점과,흥미있는곳이라는 뜻인데 같은 용어라고 생각하고 쓰면 됩니다. 참고로 같은

 마젤란 기기에서도  메르디안은 지점표시를 wpt001,wpt002,..등으로 표시하고 explorist에서는 POI001,

POI002,...등으로 표기합니다. 똑 같은 뜻인데 왜 혼잡 스럽게 하는지는 모르겠읍니다..****

=======================================================================

자 그럼 실제 예로서 트랙과 루트와 지점, Heading에 대하여 설명 해 보겠읍니다.. 

 

 좌측의 트랙은 부산 금정산 동문에서 고당봉까지의 산행

트랙입니다.즉 금정산 고당봉까지 가기위해 걸은길을 보면

꼬불꼬룰한길도 걸었고,쪽바로 난길도 걸었고,동쪽으로도

좀 걸어갔고,서쪽으로도 좀 걷기도 했고해서 어째뜬 그리

 걸어서 고당봉 까지 간 흔적,자취입니다. 이 꼬불꼬불한

선을 트랙(Track)라고 합니다.

고당봉 가는 중간에는 1,9까지 표시한 위치가있고 또 4망루도있고 원효봉도있고,북문도 있읍니다. 이 각각의 점들을 우리는

지점(WayPoint)라고 부릅니다.

그러면 루트(Route)는 무엇인가?

동문을 출발해서 고당봉까지 가기위한 루트(Route)는 동문을지나 1 지점지나 2지점 지나고.....9지점 지나고 해서 고당봉까지 갈수있읍니다. 이 지점의 요소가 포함 되어 고당봉까지 

가는 길을 루트(Route)라고 이야기합니다.다시 말해

지점이 없는 루트는 없읍니다. 동문에서 고당봉가는 사이에

지점이 많이 있으면 루트는 그만큼 정확해지고, 지점의 수가 작으면 루트는 그만큼 정도가 떨어 진다고 표현 할수 있겠지요. 아래 그림(2)은 꼬불한 트랙을 1~9까지의 지점을 이용해

루트로 만들어 본 그림이다.



 

자 이제 트랙과 루트의 구별은 이해가 되었읍니까?...

만약 여러분이 오른쪽 위의그림의 루트 를 GTM에서 waypoint를 다지우고 GPS에 올려보세요. 틀림없이 waypoint는 지웠는데 다시 나타납니다.

즉 루트(Route)는 항상 waypoit(지점)이라는 요소를 가지고있다는것을 알수 있읍니다....

======================================================================================

 

Bearing(목적지 방향)과 Heading(진행방향)

위의 왼쪽 그림을 이용해서 설명드리면.....이 그림의 위쪽은 북쪽입니다.

처음 동문에서 목적지인 고당봉을 바라보면  목적지 방향(Bearing)은 약330도쯤 된다. 그런데 동문에서 330도 방향으로 가는것은 아니고 막 출발해서

330도로 갈려는데 바로 앞에 바위가 있어서 오른쪽으로돌아 가야한다면 Heading은 90도쯤 될 것입니다.  즉 heading은 어떤 가는 길에서

어떤 시간에 어느 방향으로 가고있느냐하는 진행방향의 각도를 이야기하고 Bearing는 그지점에서 목표지점에 작선을 그었을때 생기는

각도를 이야기합니다.

위 오른쪽 그림에서 동문에서 목적지 방향은  약330도이나 waypoint7로의 진행방향 각도,즉 Heading은 약 30도쯤 되겠네요......

이상입니다=======================

 

 

 

 

 

 


 
출처 : GPS 영남
글쓴이 : 모하니 원글보기
메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