唯 識 學 槪 論 유식학개론(唯 識 學 槪 論) 동국대학교 불교문화대 불교학과 李 萬 # Ⅰ. 총 론 #1) 유식설 # 2) 8식(八識)의 구조 # 3) 심성설(心性說) #2. 유식의 수행 # 2) 오위(五位) # Ⅱ. 유식교학의 형성 배경 # Ⅲ. 유식교학이란 어떤 학문인가 #Ⅳ. 오위백법(五位百法)의 세계 #2. 유위법 # 색 법 #심왕법 # (2).. 나 無 2019.04.03
二入四行論 1. 달마어록 『이입사행론』 달마어록 『이입사행론』①∥깨달음에 이르는 방편, 이입(理入)과 행입(行入)│故 강정중(시인) 출처 : http://blog.daum.net/hekong/12242790 이 글은 보리달마(菩提達摩)의 돈황본(敦煌本)인 『이입사행론장권자(二入四行論長券子)』의 전부를 강정중 시인이 작고 이전.. 나 無 2019.04.03
頓悟入道要門論 1.돈오입도요문론 [頓悟入道要門論] 頓悟入道要門論 / 선어록 돈오입도요문론강론 / 성철스님 법어집/장경각 1. 序 說 이 논을 지은 이는 마조 도일스님의 제자인 대주 혜해스님입니다. 스님의 전기는 명확하게 기록된 것이 없고 다만 「조당집」 권 14, 「경덕전등록」 권 6등에 단편적으.. 나 無 2019.03.31
禪門撮要 鏡虛禪師 譯 惠菴禪師 編著의 禪門撮要(선문으로 살펴 깨쳐드는 요긴한 말씀) 淸峯禪師 補完 矯正 書 책 머리에 佛像에 禮拜하는 법 達磨祖師께서도 佛像에 禮拜하는 法에 대하여 累累히 말씀하신바 있거니와 山僧이 거듭하여 자세히 밝히고자 한다. 첫째, 佛像에 禮拜할 때에 그 佛像이.. 나 無 2019.03.31
대승불교의 이해 대승불교의 이해 1. 대승불교의 시작 (출현 시기와 동기, 배경 등) 부처님 열반 후 부처님의 가르침을 모은 경전을 편찬하기 위하여 여러 차례에 걸쳐 결집이 이루어졌는데, 그 중 2차 결집 때 계율의 내용 중 열 가지 사안, 특히 화폐 보시의 수용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의견 차이가 발.. 나 無 2019.03.31
金剛三昧經 金剛三昧經 北涼失譯人名∘ 序品第一∘ 如是我聞∘一時佛在王舍大城耆闍崛山中∘與大比丘衆一萬人俱∘皆 得阿羅漢道∘其名曰舍利弗,大目犍連,須菩提,如是衆等阿羅漢∘ 復有菩薩摩訶薩二千人俱∘其名曰解脫菩薩,心王菩薩,無住菩薩, 如是等菩薩∘復有長者八萬人俱∘其名.. 나 無 2019.03.15
維 摩 詰 所 說 經 維 摩 詰 所 說 經 鳩摩羅什 繹 釋無比 懸吐 一 佛國品 如是我聞하사오니 一時에 佛이 在毘耶離庵羅樹園하사 與大比丘衆八千人으로 俱하시니 菩薩은 三萬二千이며 衆所知識이라 大智本行을 皆悉成就하니 諸佛威神之所建立이라 爲護法城하야 受持正法하며 能師子吼하야 名聞十方하.. 나 無 2019.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