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S와 PC를 USB 케이블 (또는 시리얼 케이블 "구형모델")로 연결하세요
상단 메뉴에서 [전송] - "GPS에서 컴퓨터로" (또는 장치에서 수신)
(많이 사용하는 기능은 아이콘으로 나와 있습니다.)
1. 컴퓨터에서 GPS로 (장치에서 수신)
상기그림은 GPS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GPS을 USB 케이블로 연결하고 장치찾기를 누르거나 다시 [전송] - "컴퓨터에서 GPS로"(장치에서 수신)을 클릭하세요
장치 란에 Colorado 300 Korea 라고 인식이 되며 연결된 GPS의 모델명 또는 garmin 이 나오면 정상적으로 연결된 것입니다.
참고: 만약 장치란에 GPS의 모델명 또는 garmin 이 나오지 않는다면 GPS용 USB 드라이브가 제대로 설치가
되지 않는것이며 해결방법은 USB 드라이버를 수동으로 설치하여 해결 할 수 있습니다. [5, 문제해결]란 참고
웨이포인트 와 트랙을 체크하고 "수신" 버튼을 누르면 GPS에 저장된 모든 자료가 GPS로 수신됩니다.
산행자료실에 있는 "꾸글이" 님의 영동 백화산 자료를 맵소스로 받았다고 가정하고 편집 토록 하겠습니다.
(원본 위치 백화산.gdb )
상기 그림을 분석해 보면 지도 4 / 웨이포인트 11 / 트랙 45 가 수신 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날짜로 보면 6월 3일 에서 8일 까지의 기록이 담겨 있는데 백화산의 기록은 이중 하나일 것입니다.
편집하지 않고 원본을 그대로 공개한 상황이어서 입니다.
이것 때문에 맵소스에서 편집 기능을 조금 익히면 쉽게 필요한 것만 남기고 나머지는 삭제할 수 있습니다.
내용 설명:
지도 4 = GPS 속에 입력되어 있는 지도의 도엽수가 4장 이라는 것입니다.
(주의! 만약 이상태로 자신의 GPS에 그대로 자료를 전송한다면 나의 GPS속에 있는 모든 지도는 삭제되고 오직 선택된 4장만 남게됩니다.)
해결방법 = GPS로 자료 전송시 "지도 " 란을 체크 하지 않는 것입니다. (또는 도엽을 삭제해 버리면 전송할 지도가 없겠죠!)
웨이포인터 11 = 11개의 웨이포인터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트랙 45 = 6월 4일 ~ 8일 까지 45개의 트랙이 작성되었습니다. (트랙로그는 GPS가 껏다 켜거나 위성수신이 되지 않는 경우 ACTIVE LOG 001~~~ 로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삭제하고,붙이고,자르고 를 통해 보석?으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자료정리하기
- 위치 찾아가기
- 필요치 않은 트랙로그는 마우스와 키보드로 블럭으로 지정하여 삭제합니다.
- 끊어진 곳을 붙힘니다. (트랙 연결도구 사용) -- 도구란에 있습니다
- 잘못된 부분을 트랙 지우기 도구로 정리합니다.
1. 위치 찾기 - 여러가지 방법이 있으며 지도를 확대 축소하여 지점을 찾는 방법 그리고 특정 웨이포인터를 더블클릭하여 "지도에 표시" 버튼을 눌러
이동하는 방법 (상기 그림 참고)
- 필요치 않은 트랙로그 삭제하기
트랙의 상단에 마우스 포인터로 콕 찍고 키보드의 "Shift" 버튼을 누른상태에서 방향키를 하나씩 내려보면 그림처럼 "노란색"으로 지정이 됩니다.
위 그림은 산행 시작점 이전까지 트랙로그를 노랗게 선택하였습니다. 인제 과감히 "Delete" 버튼을 눌러 삭제 해버리세요
같은 방법으로 트랙로그 리스트에서 밑에서 위로 선택하여 산행을 마친후 행적(트랙)을 선택하여 삭제하면 딱 시작점과 끝난곳 까지의 자료만 남습니다.
아래그림 참고
3. 끊어진 곳을 붙힘니다. (트랙 연결도구 사용) -- 도구란에 있습니다
상기 그림의 내용을 분석하면 전체 45개의 트랙중 필요한 29개의 트랙만 남았습니다. 인제 이것을 하나의 트랙으로 합치는 작업을 진행하겠습니다.
도구란에 - "트랙 연결" 을 선택하고 연결하는 작업을 하겠습니다. (돋보기 또는 키보드의 방향기 + - 키를 병행하면 빠르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주의! 트랙 연결 도구를 선택하여 최초의 선이 이상한 곳에서 시작하는데 (실제 끝점) 키보드의 "Esc" 버튼을 눌러 버리세요 )
"트랙 연결" 도구를 선택하여 처음 시작점을 찍고 마우스 포인트를 다음 선(트랙)에 올리면 그림처럼 선이 색상이 바뀌며 연결될 영역이 표시됩니다.
클릭하면 하나로 합쳐지고 계속 다음으로 선을 연결해 나가세요 혹시 중간에 실수하여 뒤로 되돌아 가고 싶다면 편집 - 실행취소 을 클릭하면 자동으로
이전단계로 갑니다. (또는 Ctrl + z)
그림의 ACTIVE LOG 016이 합쳐진 파일입니다.
밑에 남아 있는 14개의 ACTIVE LOG는 삭제 해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좀더 정확히 하려면 꼭 붙히기 전 확대하여 트랙의 끝점과 시작점을 잘보며 붙이기 하세요
4. 잘못된 부분 지우기
편집한 전체의 트랙로그에는 두 군데의 문제점이 있습니다.
아래의 트랙의 확대하여 방향키로 움직여 보면 산행중 왔다 갔다 한 흔적이 있습니다. (나머지 한곳은 여러분이 찾아보세요)
도구 - "트랙 지우기" 도구를 선택한 다음 - 연필에 달린 지우게를 선(점)위에 올려서 마우스 윈쪽 버튼을 누르면 해당 점이 지워집니다.
결과물입니다. 곡선구간이 직선으로 바뀌었습니다.
'등산 > 산악용 GPS 활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 종류의 지도 전송하기 (0) | 2008.12.03 |
---|---|
도엽 선택 및 지도전송 (0) | 2008.12.03 |
맵소스에서 자료 만들기 (0) | 2008.12.03 |
도구 (0) | 2008.12.03 |
표시 (0) | 2008.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