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산지도 및 사진/전국 등산지도

청도 화악산

홀로산꾼 2013. 3. 8. 15:54

 

화악산(華岳山 930.4m)은 밀양시 북서쪽을 병풍처럼 에워싸고 있는 중요한 산이다. 이 산은 중량급 산이 많은 밀양에서 영남알프스 인기도에 다소 밀리는 경향이 있지만, 예나 지금이나 밀양시민들로부터 사랑 받고 있는 산이다. 일반적으로 청도 남산은 화악산과 분리해 독립된 산으로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옛날 선인들은 화악산과 남산을 같은 산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짙었다. 그 이유로는 남산 자락에 자리한 천년고찰들 절 이름 앞에는 반드시‘화악산 적천사’, ‘화악산 죽림사’, ‘화악산 신둔사’라고 쓰여 있기 때문이다.

화악산은 여름철 밀양시민들 납량코스로 인기가 있다. 해발 840m인 운주암까지 임도를 겸한 소방도로가 개설되어 쉽게 오를 수 있기 때문에 자가용으로 이 산 계곡들을 찾는 이들이 많다. 특히 이름 그대로 구름 속에 산다는 뜻인 운주암(雲住庵)에서 내려다보는 운해는 보기 드문 비경이다.

등산 코스는 경북과 경남 경계를 이루는 도계(道界) 능선을 경계로 청도 방면은 평양리 한재 마을, 밀양시 방면은 부북면 위량리 평밭 마을과 운주암에서 오르내리는 코스가 대표적이다.

밤티재~북릉~돌무덤봉~화악산 정상
밤티재(485m)는 청도읍과 각남면 경계다. 이 고개로 한재 마을에서 서쪽 각남면으로 이어지는 902번 지방도가 이어진다. 또한 이 고개를 경계로 화악산과 남산이 구분된다. 밤티재는 버스 운행이 없다. 따라서 자가용 승용차로 접근, 등산을 시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버스 운행이 없어도 밤티재 코스가 인기 있는 이유는 해발 485m에서 화악산이나 남산 정상까지 가장 짧은 거리로 쉽게 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코스는 정상에 오른 다음, 다른 방향으로 종주산행을 길게 하는 경우 선호한다. 밤티재 고갯마루에서 서쪽 100m 거리 도로 북쪽에 있는 밤티재쉼터가 산행기점이다. 간단한 음료수와 식수를 준비할 수 있다. 쉼터 남쪽 길 건너 낮은 절개지 콘크리트 벽면에 스프레이로 ‘화악산 등산로’라 크게 쓰여 있다.

절개지를 올라선 다음, 약 100m 가면 푯말이 있다. 이어 북릉 능선길이 시작된다. 능선 왼쪽 철조망과 평행선을 이루는 길로 10분 가량 오르면 철조망이 끝난다. 이어 바위들과 노송 사이로 10여 분 오르면 철쭉나무숲 속으로 들어간다. 가팔라지는 경사로 35분 가량 오르면 돌무덤봉 북벽(높이 약 20m) 밑에 닿는다.

길은 왼쪽 절벽 아래로 이어진다. 약 40m 사면을 오르면 평양1리 중리 마을 대나무밭에서 올라오는 능선길과 만나는 삼거리 푯말에 올라선다. 오른쪽 오르막길로 약 30m 더 오르면 돌무덤봉을 밟는다. 돌무덤봉에서는 북서쪽 비슬산과 북쪽 최정산이 각남면과 이서면 들판 위로 조망된다.

최정산 오른쪽으로는 대구로 이어지는 25번 국도가 실낱 같이 보인다. 북동으로는 남산 뒤로 가산과 팔공산이 시야에 와닿는다. 돌무덤봉에서 계속 북릉을 타고 2분 가면 오른쪽(서쪽) 사리골 방면 갈림길 삼거리다. 삼거리에서 직진, 2분 거리인 요진재 갈림길을 지나 약 40m 더 가면 삼각점(청도 21)과 비석이 있는 정상이다.

• 밤티재를 출발, 북릉~돌무덤봉을 경유해 정상까지 산행거리는 약 1.5km로, 1시간 안팎이 소요된다. 평양1리 버스종점에서 밤티재까지는 약 4.5km로, 도보로 1시간30분 안팎이 소요된다.

평양1리 종점~대나무숲~돌무덤봉~화악산 정상
이 코스는 대중교통편인 평양1리 버스종점이 기점이기 때문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코스다. 경북근로자복지연수원 정문 앞 마을길로 10분 가면 오른쪽 미나리밭 건너로 대나무숲이 보이는 중리 마을 삼거리 미나리작목반(비닐하우스)에 닿는다. 작목반에서 오른쪽(북쪽) 길 건너에 파란 지붕 외딴 집이 있다.

외딴 집 오른쪽이 대나무숲이다. 길은 외딴집과 대나무숲 사이 이동식화장실 옆 오르막으로 시작된다. 화장실을 지나 5~6 분 가면 묘 4~5기가 있는 초원지대를 지나간다. 이어 과수원길로 10분 가량 가면 소나무와 죽은 밤나무 가지에 리본 십 수 개가 매달린 곳에 닿는다. 20분 더 오르면 왼쪽 아래 불당 마을 갈림길이 있는 삼거리가 나온다.

삼거리를 지나 4~5분 가면 사면 길은 돌무덤봉 동릉으로 이어진다. 능선길은 가파르다. 15분 가량 오르면 한숨 돌리게 되는 완만한 능선으로 들어선다. 이어 묵묘 2기를 지나 7~8분 오르면 송림으로 뒤덮인 무명봉을 지난다. 무명봉을 뒤로하고 5분 거리인 전망바위에 이르면 왼쪽 탕건바위골 건너로 하늘금을 이룬 화악산 남동릉 상의 아래화악산과 윗화악산 능선이 마주보인다.

오른쪽 진행방향으로는 정상이 올려다보인다. 전망바위를 뒤로하고 30분 가량 오르면 5m 밧줄이 걸린 급경사 바위를 올라 4~5분 더 오르면 노송 어우러진 전망바위를 밟는다. 전망바위에서 숲을 뚫고 12~13분 오르면 밤티재 갈림길에 닿는다. 이어 30m 더 오르면 돌무덤봉이고, 왼쪽 길로 5~6분 가면 정상이다.

• 평양1리 종점을 출발해 중리 삼거리 미나리작목반~외딴집-대나무숲 사이 사면길~돌무덤봉~북릉을 경유해 정상에 오르는 산행거리는 약 5km로, 3시간 안팎이 소요된다.

평양1리~불당~탕건바위골~돌무덤봉~화악산 정상
버스종점에서 근로자복지연수원 정문 앞을 지나는 마을길로 10분 거리인 중리 삼거리를 지나 15분 가량 들어가면 불당 마을 잠실농장 안내석 앞 삼거리에 닿는다. 왼쪽 잠실농장 방면은 아래화악산이나 윗화악산으로 가는 길이다. 삼거리에서 오른쪽 길로 2~3분 올라가면 돌집 앞에 닿는다. 생수공장으로 문이 닫혀있다.

돌집 앞에서 왼쪽으로 직진, 3~4분 오르면 왼쪽으로 계류를 건넌다. 오른쪽 계류 건너로 우뚝 솟아 보이는 기암이 탕건바위다. 20m 높이 화강암이다. 꼭대기에 탕건을 닮은 바위가 얹혀 있고, 그 오른쪽에 분재 같은 노송이 자라고 있는 기암이다. 탕건바위를 뒤로하고 4~5분 오르면 왼쪽으로 묵밭이 나타난다.

옛날 절터다. 절터를 지나 오른쪽 계곡 방면 숲속으로 이어지는 길로 8~9분 거리에서 오른쪽으로 계류를 건넌다. 계곡 길은 묵밭으로 변한 다랑논 옆 숲속으로 이어진다. 8~9분 들어가면 왼쪽으로 계류를 건너고 3~4분 거리에 이르면 계곡길은 끝나고 왼쪽의 가파른 낙엽송숲 지능선으로 이어진다. 낙엽송숲을 벗어나 간벌지대로 올라서서 15분 가량 오르면 서쪽 지능선길로 올라선다.

이 지능선을 타고 10분 가량 오르면 정면으로 정상이 올려다보이는 짧은 암릉으로 들어선다. 암릉을 벗어나 완만한 숲속 길로 5~6분 가면 10m 밧줄이 매인 급경사로 올라간다. 밧줄을 벗어나 계속 가파른 능선길로 15분 가량 오르면 푯말(정상 0.7km, 절골·한재 2.6km, 윗화악산 1.4km)이 있는 돌무덤봉을 밟는다. 돌무덤봉에서 오른쪽으로 10분 가면 정상이다.

• 평양1리 종점을 출발, 불당 생수공장~탕건바위골~지능선~돌무덤봉을 경유해 정상에 오르는 거리는 약 4.5km로, 3시간 안팎이 소요된다.

평양1리~불당~잠실농원~윗화악산~화악산 정상
버스종점에서 25분 거리인 불당 마을 잠실농원 비석 앞 삼거리에서 왼쪽 다리를 건너 S자로 이어지는 길을 따라 5~6분 오르면 잠실농원이 나온다. 건물을 지나자마자 왼쪽 뽕나무밭 사이로 난 산길로 4~5분 오르면 송림 속으로 들어간다. 15분 가량 오르면 서쪽 사면이 너덜지대인 능선길로 이어진다.

너덜지대를 지나 가파른 능선길로 20분 가량 오르면 길은 오른쪽 사면으로 이어지고, 6~7분 더 오르면 화악산 남동릉(일명 도계능선) 상의 윗화악산과 아래화악산 사이 안부 사거리(아래화악산 0.4km, 한재 1.7km, 정상 3km, 윗화악산 0.9km 푯말)에 닿는다. 사거리에서 아래화악산은 25분이면 다녀올 수 있다.

아래화악산을 먼저 오르려면 종점에서 불당 삼거리로 들어가기 전 대나무 숲이 있는 중리 마을 삼거리 청도기도원 안내판에서 남쪽 계류를 건너면 된다. 계류 건너로 이어지는 과수원 길을 따라 45분 가량 오르면 아래화악산 동쪽(도계능선) 안부 사거리에 닿는다. 이곳에서 서쪽 급경사 능선길로 35분 오르면 아래화악산 정상을 밟는다.

아래화악산 서쪽 사거리 안부에서 남쪽 길은 평밭 마을로 이어진다. 사거리 안부에서 서쪽 암릉 오르막으로 오르다보면 왼쪽 아래로 밀양시와 가산저수지가 시원하게 조망된다. 30분 오르면 남쪽 비슬지맥 갈림길이 있는 헬기장(약 70평)에 닿는다. 헬기장을 뒤로하고 6~7분 가면 남쪽 운주암 갈림길 삼거리가 나온다.

갈림길에서 10분 더 가면 탕건바위골 길과 만나는 돌무덤봉(남동릉 상. 북릉 상에도 있음. 추모비가 있음)에 닿는다. 이후 10분 더 가면 정상이다.

• 종점을 출발해 불당 삼거리~잠실농원~도계능선 사거리~윗화악산~비슬지맥 갈림길~운주암 갈림길~돌무덤봉을 경유해 정상에 오르는 거리는 약 7km로, 4시간 안팎이 소요된다.
• 중리 마을 삼거리에서 밤나무 과수원~도계능선 안부~아래화악산~윗화악산을 경유해 정상에 오르는 산행 거리는 약 8km로, 4시간30분 안팎이 소요된다.

운주암 코스
밀양시 부북면 방면 화악산 등산로는 위량리에서 평밭 마을을 경유해 윗화악산과 아래화악산 사이 안부~남동릉 경유 정상으로 향하는 코스가 가장 많이 이용된다. 다음으로는 평밭 마을에서 운주암에 이른 다음, 남동릉으로 오르는 코스도 있다. 위량리 버스정류소에서 평밭 마을까지는 약 2.5km로, 오르막 임도여서 2시간 가량 걸린다.

• 평밭 마을 지장사 입구 삼거리에서 오른쪽 직진하는 길로 10분 거리인 화악산쉼터를 지나 계곡길로 30분 오르면 불당마을 삼거리에서 올라오는 길과 만나는 아래화악산 서쪽 안부에 닿는다. 이어 안부에서 남동릉 길로 윗화악산~비슬지맥 갈림길(헬기장)~운주암 갈림길~돌무덤봉을 경유해 정상에 오르면 된다. 이 코스는 약 7km에 4시간 안팎이 소요된다. • 지장사에서 서쪽으로 이어지는 임도로 약 2km 거리인 비슬지맥 상의 봉천재에 이른 다음, 비슬지맥을 타고 남동릉 삼거리(헬기장)~운주암 갈리길~돌무덤봉을 경유해 정상에 이르러도 된다. 이 코스에서 비슬지맥을 오르다가 남동릉 직전 용샘에서 왼쪽 사면 길로 10분 거리인 운주암에 이른 다음, 산령각 옆 삼거리 푯말(정상 2.5km, 45분)에서 남동릉으로 올라가도 된다. 이 코스는 약 8.5km에, 4시간30분 이상 소요된다.

※ 산행코스
• 상동→밤티재→돌모듬탑→화악산(약 2시간)
• 불당골(평양리)→아래화악산→위화악산→화악산(약 3시간)
• 불당골→절골(배바위봉)→돌탑봉→화악산 (약 2시간)
• 밀양시 상동면 평전마을→아래화악산→위화악산-화악산(약 2시간30분)
• 밀양시 상동면 평전마을→위화악산-화악산 (약 2시간)
• 밀양시 청도면 요고리 회골마을→운주골→운주암→876m봉→화악산(약 2시간)
• 밤티재-화악산(930.4m)→윗화악산(837m)→아래화악산(755m)→안부갈림길(485m)→노인회관(약 4시간)
• 대현초등학교→농로→아래화악산→위화악산→화악산 정상
• 생수공장앞 계곡다리→소로등산로→능선길→아래화악산,위화악산 중간→위화악산→화악산 정상
• 생수공장→마을길→계곡옆길→능선길→석탑봉→화악산 정상
• 생수공장→불당→화악산 정상
• 청도 상리→밤티재→화악산 정상
• 각남 사2리→상지목장→능선→화악산 정상

• 적천사→도솔암→상여바위→봉수대→갈림길→전망대→삼면봉→남산 정상→매남봉→갈림길→톡곡고개→화양초교(적천사의 사천왕상이 도유형문화재로 지정돼 있고, 특히 절 앞의 두 그루 은행나무 고목이 일부러라도 찾아가 볼 만하다.)

• 청도우체국→보현사→용화사→대포산→봉수대→삼면봉→남산→삼면봉→밤티재→화악산→윗화악산→아래화악산→철마산→초헌리 원적암안내석(18km, 약 7시간)
• 밀양시 부북면 퇴로리 부북농협(퇴로버스정류장)~퇴로리 여주 이씨 고가~매화나무 과수원~임도~밀양 박씨 가족묘~401봉~(너덜)안부~돛대산(449봉)~도로(평밭마을 표지석)~전망대~옥교산 갈림길~헬기장~아래화악산(755m)~안부(한재 갈림길)~윗화악산(소화악산·837m)~비슬기맥 갈림길~운주암 갈림길~추모비(돌탑)~화악산(930m)~추모비(돌탑)~암릉(전망대)~절골~불당~중리~청도군 청도읍 평양1리 노인회관(약국) 순. 걷는 시간만 5시간30분

※ 교통정보
• 밀양터미널에서 퇴로리 가는 농어촌 시내버스는 오전 7시30분, 8시45분, 9시47분 11시45분에 있다. 1000원.
• 청도읍 평양1리 노인회관(약국) 앞 버스정류장에서 청도터미널행 버스는 오후 2시10분, 4시20분, 6시50분에 출발한다. 1800원. 청도터미널에서 청도역은 길 건너 인근에 위치해 있다.
• 청도역에서 부산행 무궁화호 열차는 오후 5시51분, 6시15분, 6시40분, 7시52분, 밤 9시40분에 출발한다. 1시간 걸리며 4800원(주말 5000원).
• 하산 후 버스 시간이 여의치 않을 경우 개인택시(011-829-5812)를 이용해도 된다. 청도역까지 1만5000원 안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