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방,건강 식품,스트레칭

대퇴사두근

홀로산꾼 2013. 3. 21. 14:09


대퇴사두근 [大腿四頭筋, musculus quadriceps femoris] 
 

 

 

 

대퇴의 앞쪽에 위치하는 대퇴직근, 내측광근,·중간광근, 외측광근 등 4개로 이루어진 인체에서 가장 크고 강한 근육이다.

 

대퇴직근은 장골의 하전장골극에서 시작하여 고관절을 가로 지르며 대퇴부 앞면을 하행한다.

다른 3개의 근육과 머리가 합해져서 강한 힘줄이 되어 경골상단의 앞면에 붙어 있다.

이 힘줄은 그 속에 슬개골을 감싸고 있다.

슬개골과 경골과의 사이에 있는 부분을 슬개인대라 하며, 무릎힘줄반사를 시험하는 자리이다.

 

직립부동의 자세를 취하거나 힘차게 무릎을 펴거나 할 때, 무릎 바로 윗부분에 이 근육이 불거져 보인다.

 


대퇴사두근은 무릎을 안정시키고 달리는 동안 다리를 앞으로 움직이는데 도움을 주며 착지시에 충격을 흡수하기도 한다.


서 있을 경우 대퇴사두근은 무릎이 중력 중심선 상에 놓일 경우 활동하지 않는다.

반면에 무릎이 굴곡 위치나 신전 위치로 서 있을 경우 대퇴사두근과 슬건근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강한 대퇴사두근은 무릎을 올리기위한 능력을 향상시키고 잘 달리기위해 다리의 교차도 더욱 빠르게 하며 이는 골인지점에서 킥에 파워를 준다.

 


앉았다 일어서기 훈련은 단일훈련으로 가장 효과적으로 다리를 강화시켜주는 훈련이고 특히

대퇴사두근 강화에 좋다.


대퇴직근에 문제가 생기면 무릎 정면 혹은 무릎관절 깊숙히 쑤시는 통증이 일어나 일어설 때

무릎을 짚고 <아이고>하면서 일어 나는게 특징이다.

 

대퇴직근은 무릎을 펼 때 초기의 근력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밤에 환자가 무릎의 앞면과 무릎 위 허벅지 앞면에서의 깊숙이 쑤시는 통증으로 깨게 되면 이 근육을 의심합니다.

 

무릎에 통증이 있고 계단을 내려갈 때 약해진 느낌이 있고, 다음 계단을 디딜때 흔들린다고 호소하며옆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 근육이 수축시 고관절과 무릎관절을 구부린채 걸어다니고, 종아리를 쭉 펴지 못하며, 근육이약화되면 골반이 후방경사되어 요추 후만의 자세가 된다.

더불어 무릎 근육의 약화로 인해 무릎을 굽히고 걷게 된다.

 

 

내측광근은 외측광근보다 약하기 때문에 힘이 약해지게 되면 O형 다리가 되기 쉽고 이 근육이 문제가 되면 무릎에 힘이 갑자기 빠져 쓰러지는 경우가 있다.

충격을 받으면 그 자리에 쓰러지는 경우가 바로 이런 경우입니다.

 

외측광근은 4두근 중에 부피가 가장 크고 문제가 있을 시 발을 질질 끌면서 걷게 된다.

 

중간광근은 문제가 있을 시 계단을 올라가기 힘이 들어진다.


즉 4두근은 모두 무릎관절을 펴게 하는 작용을 하며, 대퇴직근은 고관절을 구부릴 때 작용을 한다.

 

 

오리걸음후의 통증에 대하여

 

 

 

 

대퇴의 전면 허벅지에서 만져지는 근육은 대퇴사두근이다.

대퇴사두근은 무릎관절과 고관절의 움직임에 관여하는데 대퇴직근과  무릎관절의 움직임에만 관여하는 내측광근, 중간광근, 외측광근으로 구분된다. 

 

대퇴직근은 고관절과 슬관절에 있어서 힘과 스피드를 갖는 근육이다.

따라서 고관절과 슬관절에서 파워풀하며, 스피드한 움직임시 근육에 손상이 왔거나 통증 느꼈다면

대퇴직근에서 원인을 파악하여야 한다.

 

지구력 및 인내력과 관련이 있는 근육은 "광근"으로 내측광근, 외측광근, 중간광근이다.

장기간의 기마자세라든가 토끼뜀 뛰기 줄다리기, 마라톤 등과 같은 인내력 지구력을 요하는 움직임 후에 통증이나 문제는 광근을 관리해줘야 한다.

 

따라서 100m달리기 선수는 대퇴직근을, 마라톤 선수는 광근을 관리해야한다.

 

무릎이 완전히 끝 범위까지 펴지지 않을 경우에는 슬관절 주변 근육뿐 아니라 고관절 주변근육까지 진단하여 관리를 하여야 한다.

장요근의 단축에 의해 고관절이 굴곡되고 요추가 굽어 있는 경우 슬관절이 완전히 펴지지 않는다.

따라서 무릎의 신전이 안될경우에는 대되직근, 슬괵근, 대둔근, 장요근, 복직근까지 관리 해줘야한다.

 

 

 

1) 대퇴직근(rectus femoris)

시작점은 전하장골극과 관골구 상연의 구이며 슬개골 상연에서 슬개인대와 합져져 경골결절까지 이어진다.

작용은 무릎관절을 신전시키고 고관절을 굴곡시킨다.

 

무릎 상부에 통증이 있음으로 무릎병으로 오진하기도 하며, 만약 통증이 심해 잠을 설치고, 계단내려 갈 때 힘이 없이 옆으로 내려가려고 하면 이 근육을 의심해 봐야 한다.

이 근육 약화시  고관절과 무릎관절을 굴곡한 채 보행하고, 하퇴를 쭉 뒤로 펴지 못하며, 근육의 약화시 골반이 후방경사 되어 요추후만의 자세가 된다. 

 

무릎을 오래 꿇고 걸래질하는 동작이나, 어린이에게서 흔하게 오는 오스굿슐라트병의 원인이 대퇴직근이다. 이러한 질환들은 대퇴직근의 과부하로 인해 생기며, 심하면 경골 조면의 골단이 들리게 된다.

 

 

 

대퇴 직근의 긴장의 정도는 (modifiled thomas test)를 시행하여 측정을 할수 있다

환자는 진찰대의 모서리에 둔부를 걸치게 하여 고관절의 신전과 슬관절이 굴곡을 관찰 한다.

장요근에만 발통점이 생긴 환자는 고관절의 신전만  제현 되지만 대퇴 직근에 발통점이 생기면

고관절의 신전과 슬관절이 굴곡이 동시에 제한 된다.

 

 

2) 중간광근(vastus intermedius)

 대퇴골 전외측면의 근위부 2/3, 대퇴골조선(lineaaspera)의 하반부, 외상과선(lateral supacondylar line)의 상부, 외측 근간격막에서 시작하여 대퇴직근과 광근의 건과 함께 슬개골 상연에 이르고 슬개인대와 함쳐져서 경골결절까지 이어진다.

작용은 슬관절을 신전시킨다.

 

대퇴직근과 반대로 계단을 올라가기가 힘들어 진다.

심해지면 내측광근의 이상과 같이 갑자기 무릎에 힘이 빠지면서 쓰러지는 수도 있다.

단축시, 보행시에 무릎의 굴곡제한으로 빨리 걷기가 힘들어진다.

약화시는 무릎의 굴곡과 신전의 부전으로 무엇을 잡고 일어나거나 무릎에 손을 짚고 일어서려고 한다.

 

운동 후 대퇴전면에 나타나는 산통의 주된 원인은 중간광근이다.

토끼 뜀 후 허벅지가 아파 계단을 잘 오르지 못하는 경우가 대표적인 경우이다.

 

                   

 3) 내측광근(vastus medialis)

대퇴골조선, 내과선, 내측 근간격과, 대내전근과 장내전근의 건에서 시작하여 슬개골 내측연에서

슬개인대와 합쳦서 경골결절까지 이어진다.

작용은  슬관절을 신전시키고 슬개골을 내측으로 당긴다.

 

초기에는 슬관절 통증이 주된 증상이지만 만성화되면 근력이 약해져 바닥이 고르지 않는 길을 걸을 때, 무릎에 힘이 갑자기 빠지면서 쓰러지는 수가 있다.

만약 발을 바깥으로 벌리고 걸으면서 슬관절내측의 통증을 호소하면서 보행중 쓰러젺다면, 이 근육을 의심해 보아야 한다.

 

내측광근의 단축시 무릎굴곡시 내측이 당기는 통증과 부종이 생기고 슬개골의 내측변위를 일으킨다.

이 근육의 이완시는 험한 길 걷다가, 무릎에 힘없이 잘 꺾이며 슬개관의 외측변위를 일으킨다.

 

내측광근은 슬개골 전면에 통증을 내며 가만히 있어도 아프고 힘이 없게 만든다.

 

증상이 대퇴직근과 비슷하지만 내측광근은 발적, 발열, 부종 증상이 있는데 이러한 혈관과 관련이 있는 증상을 보이는 이유는 마치 외측광근이 장경인대와 인접하여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것처럼 내측광근은 대퇴동정맥이 관통하는 내전근과 인접하여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것이다.

 

 

4) 외측광근(vastus lateralis)

전자간선, 대전자, 둔근조면, 대퇴골 조선, 외측근간격막, 고관절낭에서 시작하여  슬개골 외측연에서 슬개인대와 합쳐져서 경골결절까지 이어진다.

작용은 슬관절을 신전시키고 슬개골을 외측으로 당긴다.

 

의자에서 일어설 때는 상체를 숙이고 서려고 하여 무릎에 부하 걸림을 줄이려고 한다.

보행시 무릎굴곡 신전이 부자유스러워 발을 끌면서 걸으려고한다.

외측광근의 단축시 무릎을 굽히지 못하여 뻗정다리가 되어 발을 질질 끌면서 절게 되고,

슬개골 외측 무릎 뒤에 통증을 일으키며 슬개골 변위를 일으킨다.

 

외측광근은 대퇴근막장근과 대둔근의 연장선인 장경인대와 함께 무릎 외측의 안정성을 담당함으로

무릎외측의 문제나, 구부림과 펴기에 어려움이 있는 뻣뻣한 무릎은 외측광근을 관리해야한다.

 

이런 증상들은 젊어서 하이힐을 자주 착용한 여성이나, 비포장 길과 같이 노면 환경이 좋지 않는 곳에서 장기간 작업했던 사람들에게서 많다.

 

외측광근은 문제 대퇴골의 대전자 통증, 무릎의 뒤(오금)가 당김, 외측측부인대 통증 유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