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테이핑 요법

어께주위 테이핑

홀로산꾼 2009. 1. 18. 17:04

어깨주위 테이핑

어깨주변의 갑작스런 통증(견경완 증후군) 테이핑
☞ 어깨주변에 명확한 통증근육이 밝혀지지 않은 갑작스런 통증일 경우에는 사진과 같이 팔을 옆으로 벌린 상태에서 5cm의 폭으로 사진과 같이 손목에서부터 팔꿈치를 지나 어깨 부분에서 두 갈래로 나누어져 위에 것은 경추 제 7번을 향하고 밑에 것은 흉추 제 7번과 8번을 향하여 사진처럼 테이핑한다.
팔을 많이 사용하여서 생긴 팔과 어깨의 통증(타이피스트 증후군) 테이핑
☞ 손목에서부터 시작하여 팔꿈치를 지나 어깨(삼각근)에서 하나는 경추 7번을 향하고 다른하나는 흉추 7번 또는 8번을 향하여 붙인다. 이 때 전완(팔목에서 팔꿈치부분)의 과사용으로 팔이 나른한 경우에 사진과 같이 테이핑한다.

팔을 뒤로 외전(펴는 동작)할 때 어깨와 등주변의 통증시 테이핑
☞ 4.5십견 증상일 때 사진과 같이 테이핑하게 되면, 팔의 가동력이 호전되고 어깨의 통증도 소실된다.
오십견(팔, 어깨)의 통증시 테이핑
☞ 등쪽이 묵직하게 느끼고 팔이 120。이상 거상이 어려울 때 삼각근과 능형근을 추가로 테이핑한 사진이다. 오십견의 테이핑은 약 1개월 정도하게 되면 상당히 호전되어 근육의 재생으로 활동이 자유로워질 수 있다.

팔을 머리 위로 올린채 자거나, 망치질, 칼질, 머리위로 물건 올리는 동작시 통증테이핑
☞ 심한 경우는 견갑거근테이핑(5)과 사각근 테이핑(3)을 추가로 하면 통증이 소실된다.
오래 서 있거나, 앉아 있을 때 구부정한 자세로 장시간 있을 경우 등으로 가만히 있어도 등 뒤가 뻐근한 경우의 테이핑
☞ 견갑골과 흉추 1-7의 무거운 감이나 통증을 호소할때 테이핑한다.

오른쪽 어깨가 내려간 사진 오른쪽 어깨가 올라간 사진

처진 어깨를 올리고자 할 때의 테이핑
☞ 사진상에서 좌측으로 고개가 기울어지는 분
올라간 어깨를 내리고자 할 때의 테이핑
☞ 사진상에서 우측으로 고개가 기울어지는 분

내장기 이상에서 오는 어깨의 통증시 테이핑
☞ 목의 접경부에서 시작하여 흉추 7, 8번에서 크로스(X)가 되도록하여 반대편 늑골 12하연까지 테이핑한다.
팔을 뒤로 돌려 등을 긁으려 하거나, 목욕탕에서 등을 문지를 때 삼각근 전면에 통증이 나타날 때의 테이핑

전거근 테이핑
▽ 100m 기록 달리기라든지, 팔굽혀펴기, 심한기침, 호흡기질환, 고도의 분노, 히스테리증상 때 가슴과 견갑골하각 젖가슴, 손바닥과 약지손가락 및 새끼 손가락까지 통증이 확산될 수도 있는 근육으로 이 때의 테이핑 방법
옆으로 웅크리고 자고 난 후 팔 안쪽에서 통증, 가슴 쪽의 통증 또는 상체를 숙여 오랫동안 있을 때의 통증시 테이핑
삼각근 앞쪽에 강하게 느껴지는 통증시 테이핑

 테이핑 접근방법
① 외전, 신전, 내전 등 동통이 발현되는 동작을 정확히 체크하고 각도를 확인해 둡니다.
② 아픈곳에만 테이프를 붙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동통 부위에 집착하지 않고 접촉 or 압박테스트를 정확히 합니다.
③ 가동력은 통증이 발현되는 곳까지 하되, 무리하게 테스트하지 않습니다.
④ 먼저 안정시 동통부위를 해결한 다음 운동통을 접근해 갑니다.
⑤ 관절운동을 체크한 다음 경미한 것부터 접근해 갑니다.
⑥ 접촉 테스트는 원위부부터 시작해 어깨근으로 넘어갑니다.
⑦ 관절제한운동이 없고 밤에만 통증이 있는 경우는 경견완증후군 테이프를 2-3일 반복하고
경과를 관찰합니다.

통증과 관련작용근육

통 증 테이핑 작용근육 비 고
굴 곡 삼각근, 대흉근, 오구완근, 이두박근 ① 팔을 올릴 때 통증
② 강한 수축시 통증
신 전 전삼각근, 대원근, 소원근, 광배근, 상완삼두근, 대·소 능형근 소원근 : 상완의 회전상태(특히120。)에서 굴곡시 최대로 움직임
대·소능형근 : 견관절의 가동력 끝에서 작용하는 근육
수평내전 대흉근, 삼각근 전섬유 대흉근 :
① 상완을 내회전시킴.
② 어깨가 내려오게 하거나 어깨관절에서 굴곡을 보조함
③ 협심증으로 오진하기 쉬움
삼각근 전섬유 : 반대편 목 뒤로 손이 돌아가게 함
수평외전 삼각근, 대원근, 소원근, 극하근 극하근 :
① 어깨 앞 깊숙한 곳에서 격렬한 방사통
② 허리 뒤로 손이 돌아가지 않음
③ 견갑대의 피로를 유발함
외 전 삼각근, 극상근, 극하근, 견갑하근, 상완이두근, 장두, 소원근 극상근 : 밤중의 통증. 머리를 빗거나 칫솔질, 면도 등을 할 때의 통증
내 회 전 대흉근, 삼각근 전섬유, 광배근, 대원근, 견갑하근 ① 팔을 수평으로 하여 가슴쪽으로 옮기는 동작
② 팔짱을 끼는 동작
외 회 전 삼각근 후섬유, 극하근, 소원근 투수가 공을 던지기 위해 팔을 뒤로 뻗는 동작
견갑거상 승모근(상부섬유), 견갑거근, 대·소 능형근 예 :
① 무거운 가방을 장시간 어깨에 멜 경우
② 장시간 공을 칠 경우
③ 의자의 팔걸이가 너무 높거나 지팡이가 높을 경우
④ 소파 팔걸이에서 낮잠을 잘 경우
견갑하강 전거근, 대·소 능형근, 광배근, 승모근하부
※ 안정을 목적으로 하므로 테이프를 많이 늘리지 않도록 하고 옷을 입을 때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또한 어깨 동작 중 소리(Snapping click)가 날 때는 능형근, 극상근, 상완이두근
이 관련되어 있다.

3) 견관절 외전 3상에 관여하는 근육들
① 1st phase (팔을 60。까지 올릴 때 통증이 나타날 때)

·사각근(Scalenus)
·극하근(Infraspinatus)
·상완이두근(Biceps Brachii)
·극상근(Supraspinatus)
·소원근(Teres Minor)
·상완요골근(Brachioradialis)

② 2st phase (팔을 120。까지 올릴 때 통증이 나타날 때)

·사각근(Scalenus)
·승모근(Trapezius)
·소흉근(Pectoralis)
·전방거상(Serratus Anterior)
·상방(superior)
·대흉근(Pectoralis Major)

③ 3rd phase (팔을 180。까지 올릴 때 통증이 나타날 때)

·사각근(Scalenus)
·견갑(Scapulae)
·견갑하근(Subscapularis)
·기근(Levator)
·능형근(Rhornboid)
·척추기립근(Erector spine)

1st phase(1상) 2nd phase(2상) 3rd phase(3상)

'건강 > 테이핑 요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통과 요추 테이핑  (0) 2009.01.18
팔, 손목 테이핑  (0) 2009.01.18
목주변 테이핑  (0) 2009.01.18
고관절 테이핑  (0) 2009.01.18
무릎주변근육 테이핑  (0) 2009.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