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테이핑 요법

스파이랄 테이핑

홀로산꾼 2009. 1. 18. 17:13

 

스파이랄테이핑 사례

악관절통
A type: 3×4 (3㎜)
이명, 현기증, 귀울림
A type: 3×4 (3㎜)
목을 굽힐 때 통증
A type: 3×4 (3㎜)
B type: 3×4 (4㎜)

목을 돌릴때 통증
A type: 3×4 (3㎜)
B type: 3×4 (4㎜)
목을 앞으로 굽힐 때 통증
C type: 5×6 (4㎜)
목을 옆으로 기울일 때 통증
A type: 3×4 (3㎜)
B type: 3×4 (4㎜)

어깨의 통증
C type: 5×6
B type: 3×4 (4㎜)
팔을 올릴때 어깨의 통증
C type: 5×6 (4㎜)
팔을 앞으로 올릴때 통증
C type: 5×6 (4㎜)

견갑골 주변의 통증
C type: 5×6 (4㎜)
테니스 엘보
B type: 3×4 (4㎜)
C type: 5×6 (4㎜)
골프 엘보
B type: 3×4 (4㎜)
C type: 5×6 (4㎜)

엄지손가락 배굴시 통증
C type: 5×6 (4㎜)
손가락 저림
A type: 3×4 (3㎜)
B type: 3×4 (4㎜)
손가락 삠
A type: 3×4 (3㎜)
B type: 3×4 (4㎜)

허리를 펼 때의 통증
C type: 5×6 (4㎜)
계단을 내려갈 때의 통증
C type: 5×6 (4㎜)
정강이(계단내려갈때) 통증
B type: 3×4 (4㎜)

계단을 오르내릴 때의 통증
C type: 5×6 (4㎜)
무릎의 통증
C type: 5×6 (4㎜)
장딴지 경련
C type: 5×6 (4㎜)

발목의 염좌
A type: 3×4 (3㎜)
B type: 3×4 (4㎜)
발등의 나른함
A type: 3×4 (3㎜)
B type: 3×4 (4㎜)
C type: 5×6 (4㎜)
외반모지
C type: 5×6 (4㎜)

※ 스파이랄테이핑이란?
우리의 인체는 대칭으로 존재하고 그것은 서로가 균형을 취하여 몸을 지지하고 있다. 그러나 인체는 몸의 중심을 경계로 좌우, 상하, 앞뒤 근육이 비뚤어져서 근긴장이나 동통이 나타나고, 이로 인하여 잘못된 근육을 흡수하기 위해서 근긴장이 생기는 부분과 몸 전체의 균형을 조정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난다. 이러한 현상으로 근긴장과 압통이 반응하는데 이 반응점들을 처치하는 것을 Spiral Taping(스파이랄테이핑) 이라고 한다.

※ 테이핑시 주의사항
1. 통증이 심하거나 가려우면 떼어 내십시오.
2. 탄력테이프와 같이 병행시 2~3일 간격으로 붙이되 증상에 따라 매일 교체하십시오.
3. 탄력테이프는 천천히 떼어내십시오.
4. 탄력테이핑시에는 근육을 최대한 스트레칭하여 붙여 주십시오.

※ 테이핑 치료의 적응증
1. 모든 연부조직의 병변(근, 건, 인대)에서의 기능이상과 통증의 치료
- 임산부의 요통 역시 적응증입니다.
2. 예방적 가치 : 치료와 치료의 유지뿐만 아니라 각종 통증의 예방효과
3. 근력의 강화 : 근육의 이완은 물론 근력강화의 효과
4. 내과적인 질환 및 중추신경계의 질환에 이용

※  테이핑의 단계
1. 병력 청취
2. 가동력 검사와 운동 Pattern 검사
3. 자세검사(체중부하 검사와 항중력 검사)
4. Trigger Point(반응점) 치료
5. 연부조직의 진단과 저항검사에 의한 분석
6. 정형의학적 검사와 근육의 작용, 병태생리의 분석
7. 척추교차반사에 의한테이핑

※ 격자형 테이핑의 주행방향은 경락주행의 방식과 같으며 좌방계, 우방계에 의하여 테이핑한다.
좌방계 우방계의 비교

· 오링 테스트
· 안압을 비교한다.(좌측이 높으면 좌방계)
· 편도선을 본다.(좌측이 코면 좌방계)
· 편도선부를 외부에서 누른다.
· 제1경추의 횡돌기를 비교한다.(좌우의 압통을 비교하여 더 아픈 쪽이 방계이다.)

1. 좌방계 (전체의 95%)
우수에서 시작하여 체간 좌족으로 향한다 . 우족에서 시작하여 좌수의 순서로 행한다 . 경락의 흐름은 좌수에서 교차하여 우족으로 결쳐서 통하는 것은 정경의 유주이고 , 우수에서 교차하여 좌족으로 걸쳐서 통하는 것은 정경의 역의 유주이다 .

2. 우방계 (전체의 약 5%)
경락의 흐름은 우수에서 교차하여 좌족으로 걸쳐서 통하는 것은 정경의 유주이고, 좌수에서 교차하여 우족으로 걸쳐 통하는 것은 정경의 역의 유주이다.

3. 격자형 테이핑요법의 시술점
근의 긴장, 압통이 강한쪽(또는 실한 곳)에 시술을 행하는 것이 기본이고, 근긴 장을 어떻게 정상으로 되돌리는가에 중점을 두고 저하된 쪽(근력저하 또는 허한 곳)에는 일체 테이핑을 하지 않는다. 즉 , 근긴장이 강한 쪽을 이완시켜서 저하된 쪽을 강하게 한다는 생각으로 테이핑하며 , 이로 인하여 생체의 교정능력은 크게 높아진다.

4. Trigger Point 와 Taping 요법점

5. 흉복부와 요배부의 근긴장의 방향성
하복부는 흉부로 주행한다(陰筋). 요배부에는 견부에서 요부로 주행한다(陽筋).

6. 양근과 음근의 상관관계

1) 우측 복부에서 우측 흉부의 근긴장은 좌측 견배부에서 좌측 요부에도 근의 긴장을 초래한다.
2) 좌측 복부에서 좌측 흉부에 근긴장일 경우는 우측 견배부에서 우측 요부로도 근긴장이 나타난다.

7. 근긴장(압통)으로부터 원격부위에 보이는 반응점
입위 자세에서는 수직선상에서 Trigger Point를 찾고 그 기준점은 앞쪽은 서혜부, 뒤쪽은 대전자를 기준한다.


※ 척추부의 Trigger Point & 테이핑 요법

1. 척추를 5개의 block으로 분류한다.
1) 두부와 경부사이
2) 경부와 흉부사이
3) 제7흉추와 제8흉추 사이
4) 흉부와 요부 사이
5) 요부와 천골부 사이
이상과 같이 5개의 block 사이에는 각각
다른 응력이 걸린다.

2. 척추 측방의 좌우 반응
척추를 중심으로 극돌기보다 외방 약1cm를 일행선, 약3cm를 이행선, 약6cm를 삼행선으로 한다.
ex) 가령 좌측의 이행선에 반응이 있다면 우측에는 일행선과 삼행선에 반응이 나타난다 .
쉽게 진단하려면 외관의 근긴장 압통으로도 판단한다.(극하근과 외관은 동측에 반응점이 나타난다.)

3. 검사법과 시술법의 응용
제3경추부 좌, 우 압통을 비교한다.(약 80%가 우측 횡돌기부에 압통이 존재하며, 이것은 점상의 반응으로 출현하는 것이 많고 척추는 뱀모양의 것이 많다. 좌측 횡돌기부에 근긴장이 존재하면, 선상의 반응으로 출현하는 경우가 많고 측만증의 경우가 많다.

4. 각 block 별 상관관계 : 이것은 이행선의 근긴장을 의미한다.
1) A block : 경 추 7, 6, 5, 4, 3, 2, 1과 흉추 1, 2, 3, 4, 5, 6, 7은 반대측에 반응한다.
2) B block : 흉추 1, 2, 3, 4, 5와 요추 5, 4, 3, 2, 1은 반대측에 반응한다.
3) C block : 흉추 12, 11, ,10, 9, 8과 요추 1, 2, 3, 4, 5는 반대측에 반응한다.
4) D block : 경추 7, 6, ,4, 3, 2, 1과 천골 1, 2, 3, 4, 5 미골은 동측에 반응한다.
5) E block : 요추 5, 4, 3, 2, 1과 천골 1, 2, 3, 4, 5는 반대측에 반응한다.

5. 배요부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반응점
1) 좌우 척추의 긴장은 극하근부에서 반응점이 나타나며 승모근과 광배근에 의하여 측방향으로 잡아끄는 힘이 척추측 방향의 기립근이 지탱하고, 기본적 부위로서의 극하근이 긴장부와는 반대쪽의 제3흉추부의 기립근에 반응점이 나타난다.
2) 흉늑관절부의 반응점
경부통 및 배부통이 경감 또는 소실하지 않는 경우는 흉늑관절부의 반응점(압통점)을 이용한다.

경추부 흉추부의 반응
ex) 제3경추 압통이 의 우측과 제5경추의 좌측에 있다면 흉추부에는 제3흉추 우측과 제5흉추 좌측에 압통이 나타난다.
ex) 흉늑관절에서는 같은 레벨로 반응점이 나타난다.
배측의 제3경추 우측과 제5경추 좌측에 압통이 존재한다면 전흉부에 있어서는 우측 제3흉늑관절과 좌측 제5흉늑관절에 압통이 존재한다.

3) Trigger Point Taping Method
- 이완근에 잡고 근섬유 방향으로 압박한다는 것. 즉, 근긴장을 이완시키는 방법이다.
- 동통에 관해서는근부위의 정반대측의 한점에 압박을가하는것. 즉, 통증을 경감시키는 방법이다.

4) 테이핑 방향 : 기본 방향은 항상 말초부터 시작하여 중추를 향해 테이핑한다.
- 동통 발생 기전의 억제방향을 검사한다.
- 오링테스트 양성방향을 검사한다.
- 근섬유의 주행에 따라 테이핑하고, 다음에 횡(가로)방향으로 테이핑한다.
- 오링테스트에 의해 음양을구별하여 테이핑한다.(이때 음성을 먼저 테이핑한다)

5) 경추의 회선운동 제한검사
- 좌회선 제한인 경우는 횡경막 아래를 치료한다.
- 우회선 제한의 경우는 횡경막 위를 치료한다.
ex) 요통환자가 우회선 제한이 있는 경우는 횡경막 위를 치료점으로 한다 .

6) 동일 처리법 : 횡경막 (T. 9) 을 기준으로 한다.
- 전면에서는, 횡경막 위는 4선이 서로 만난다. 횡경막 아래는 4선이 서로 흩어진다.
- 후면에서는, 횡경막 위는 4선이 서로 흩어진다. 횡경막 아래는 4선이 서로 만난다.
- 하지에서는, 대퇴 4두근은 4선이 서로 만난다. 슬관절 아래에서는 4선이 서로 흩어진다.

7) Blance Taping

〈 전 형 〉
上 : 대흉근 , 소흉근
中 : 요추 2( 뒤 )
下 : 대퇴 4 두근
- 대퇴직근의 1/3 부위 상부 하퇴 3 두근
- 비복근중앙에 CROSS 테이핑
〈 후 형 〉
上 : 극하근(A point)
中 : 복직근
- 검상돌기측 2 횡지
下 : 대퇴 2 두근 1/2
전경 골근 1/2

〈 좌 형 〉
전거근, 외복사근
대 퇴 근막장근 1/3, 내 전근 1/3
하지외측부 1/2, 하지내측부 l/2
〈 우 형 〉
외복사근, 전거근
대퇴근막장근 1/2, 내전근 1/2
하지외측부 1/3, 하지내측부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