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 브레이크를 유용하게 사용하는 방법
유명한 산악 싱글트랙 하강 코스의 급커브마다 브레이크로 인한 범프와 깊게 파인 바퀴자국들, 갈라진 틈들이 있다. 실력이 꽤 좋다는 많은 산악 자전거인들도 앞 브레이크를 제대로 사용할 줄 모르기 때문이다. 앞 브레이크는 하강할 때 자전거를 정지시켜주고 속도를 줄여 줄 수 있는 유일한 장치이다. 앞 브레이크의 사용에 숙달하면 자전거 타는 것에 숙달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1.앞 브레이크 레버 조작은 두 손가락으로 하고 뒷 브레이크는 한 손가락을 사용한다. 이렇게 하면 당황할 경우에도 뒤 브레이크를 무리하게 사용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앞 브레레이크를 유효 하게 사용하여 안전 하게 정지 할수 있다..
2. 코너를 돌기 전과 가파른 지역을 내려가기 전 브레이크를 빨리 잡는 것에 익숙해져야 한다. 코너 쪽으로 몸을 기대지 않는 한 아무리 세게 브레이크를 잡아도 앞 브레이크는 미끄러지지 않는다.
3.언덕의 아래로 내려올 때까지 브레이크를 잡아서는 안 된다. 브레이크를 오래 잡으면 서스팬션이 제대로 작동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브레이크를 잡지 않은 상태에서 코너링과 핸들 조정이 더 쉬워진다. 브레이크를 잡아 바퀴가 잠기면 브레이크를 잡을수록 바퀴자국만 남게 된다.
4. 브레이크를 잡을 때에는 내려오는 힘을 잘 콘트롤 하기 위해 짧은 간격으로 세게 잡아야 한다.
지형이 평평하고 모래나 진흙이 많으면 천천히 브레이크를 잡고 기술이 필요한 지역에서는 브레이크를 놓는다. 반대로 얘기를 한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대개 쉬운 지역에서는 속력을 내기 때문에 어려운 코스에서는 콘트롤 할 수 없이 미끄러져 내려오고 만다.
5. 트랙션(구동력 이나 미끄러짐)이 생기는 대로 앞 브레이크를 사용한다.
하강할 때에는 몸의 중심이 뒷 바퀴에서 앞 바퀴로 옮겨진다. 이것은 미끄러짐을 막기 위해 뒷 브레이크의 사용을 줄이고 앞 브레이크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브레이크가 타이어를 잡는 ‘삑’ 소리를 들어보라. 할 수 있는 한 브레이크를 꽉 잡고 타이어의 ‘삑’ 소리가 미끄러지는 소리로 바뀌면 살짝 브레이크를 느슨하게 한다. 빠른 속도에서도 고수들은 타이어가 미끄러지는 경우는 아주 드물다.
* 바위가 많은 지역 통과하기
듀얼 서스팬션 트라이얼(trial) 자전거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바위가 많은 지역에서의 성능이 휠씬 뛰어나다. 바위 길은 평지일수도, 업힐일수도, 다운힐일수도 있지만 기본 테크닉은 똑같다.
1. 먼저 움찔하지 말고 대담하게, 확신 있게 전진하다. 느린 속도에서는 서스팬션이 제대로 발휘하지 못한다. 걸음걸이 정도의 속도에서 큰 바위에 부딪히게 되면 라이딩의 흐름이 깨지고 만다. 속도를 늦추지 말고 상체를 곧게 세우고 돌에 그대로 가서 부딪힐 것처럼 간다.
2. 미리미리 갈 방향과 길을 정하고 그대로 따라간다. 큰 바위를 모두 피할 수는 없지만 가장 안전해 보이는 길을 골라서 힘있게 뚫고 간다.
3. 평지에서보다 적어도 한 단계 위의 기어를 선택한다.
4. 코스를 언제든지 바꿀 준비를 해야 한다. 항상 앞 바퀴 앞에 있는 바위들을 잘 살피고 미리 봐 둔 길을 따라 페달을 서서히 밟으며 간다.
5.바위가 많은 지역에서 하강을 할 때는 전체 지역을 쉬지 않고 한 번에 주행하는 것이 좋지만 브레이크를 사용해야 한다면 두 개의 레버를 균일하게 사용하고 돌들이 작은 곳에서만 사용한다.
돌들이 클 경우에는 브레이크를 잡지 말고 중력으로 그냥 속력을 유지한다. 바위 사이를 브레이크를 잡은 채로 주행할 경우 사고가 생길 수 있다.
6. 절대 포기하지 말라. 앞 타이어가 완전히 멈추었다 하더라도 계속 페달을 밟고 바위 길을 다 지나서는 쉬운 길이었다고 생각하고 뒤를 돌아보지 않는다.
* 크게 갈라진 틈 뛰어 넘기
크게 갈라진 틈을 점프하는 것은 스텝-업(step-up)(제1편 참조) 동작을 숙달하고 나면 아주 쉽다.
1. 적당한 속도를 정한다.
2. 틈에 다달으면 몸을 뒤로 젖히고 핸들을 당기면서 앞 바퀴를 트레일에서부터 2 피트 정도 위로 든다.
3. 틈 건너편에 자전거가 닿을 때 몸의 중심을 자전거 가운데에 둔다.
4. 뒷 바퀴에 무게가 가지 않도록 핸들 쪽으로 몸을 숙인다.
5. 틈을 넘어서는 뒤를 돌아보지 말고 속력을 내서 전진한다.
유명한 산악 싱글트랙 하강 코스의 급커브마다 브레이크로 인한 범프와 깊게 파인 바퀴자국들, 갈라진 틈들이 있다. 실력이 꽤 좋다는 많은 산악 자전거인들도 앞 브레이크를 제대로 사용할 줄 모르기 때문이다. 앞 브레이크는 하강할 때 자전거를 정지시켜주고 속도를 줄여 줄 수 있는 유일한 장치이다. 앞 브레이크의 사용에 숙달하면 자전거 타는 것에 숙달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1.앞 브레이크 레버 조작은 두 손가락으로 하고 뒷 브레이크는 한 손가락을 사용한다. 이렇게 하면 당황할 경우에도 뒤 브레이크를 무리하게 사용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앞 브레레이크를 유효 하게 사용하여 안전 하게 정지 할수 있다..
2. 코너를 돌기 전과 가파른 지역을 내려가기 전 브레이크를 빨리 잡는 것에 익숙해져야 한다. 코너 쪽으로 몸을 기대지 않는 한 아무리 세게 브레이크를 잡아도 앞 브레이크는 미끄러지지 않는다.
3.언덕의 아래로 내려올 때까지 브레이크를 잡아서는 안 된다. 브레이크를 오래 잡으면 서스팬션이 제대로 작동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브레이크를 잡지 않은 상태에서 코너링과 핸들 조정이 더 쉬워진다. 브레이크를 잡아 바퀴가 잠기면 브레이크를 잡을수록 바퀴자국만 남게 된다.
4. 브레이크를 잡을 때에는 내려오는 힘을 잘 콘트롤 하기 위해 짧은 간격으로 세게 잡아야 한다.
지형이 평평하고 모래나 진흙이 많으면 천천히 브레이크를 잡고 기술이 필요한 지역에서는 브레이크를 놓는다. 반대로 얘기를 한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대개 쉬운 지역에서는 속력을 내기 때문에 어려운 코스에서는 콘트롤 할 수 없이 미끄러져 내려오고 만다.
5. 트랙션(구동력 이나 미끄러짐)이 생기는 대로 앞 브레이크를 사용한다.
하강할 때에는 몸의 중심이 뒷 바퀴에서 앞 바퀴로 옮겨진다. 이것은 미끄러짐을 막기 위해 뒷 브레이크의 사용을 줄이고 앞 브레이크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브레이크가 타이어를 잡는 ‘삑’ 소리를 들어보라. 할 수 있는 한 브레이크를 꽉 잡고 타이어의 ‘삑’ 소리가 미끄러지는 소리로 바뀌면 살짝 브레이크를 느슨하게 한다. 빠른 속도에서도 고수들은 타이어가 미끄러지는 경우는 아주 드물다.
* 바위가 많은 지역 통과하기
듀얼 서스팬션 트라이얼(trial) 자전거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바위가 많은 지역에서의 성능이 휠씬 뛰어나다. 바위 길은 평지일수도, 업힐일수도, 다운힐일수도 있지만 기본 테크닉은 똑같다.
1. 먼저 움찔하지 말고 대담하게, 확신 있게 전진하다. 느린 속도에서는 서스팬션이 제대로 발휘하지 못한다. 걸음걸이 정도의 속도에서 큰 바위에 부딪히게 되면 라이딩의 흐름이 깨지고 만다. 속도를 늦추지 말고 상체를 곧게 세우고 돌에 그대로 가서 부딪힐 것처럼 간다.
2. 미리미리 갈 방향과 길을 정하고 그대로 따라간다. 큰 바위를 모두 피할 수는 없지만 가장 안전해 보이는 길을 골라서 힘있게 뚫고 간다.
3. 평지에서보다 적어도 한 단계 위의 기어를 선택한다.
4. 코스를 언제든지 바꿀 준비를 해야 한다. 항상 앞 바퀴 앞에 있는 바위들을 잘 살피고 미리 봐 둔 길을 따라 페달을 서서히 밟으며 간다.
5.바위가 많은 지역에서 하강을 할 때는 전체 지역을 쉬지 않고 한 번에 주행하는 것이 좋지만 브레이크를 사용해야 한다면 두 개의 레버를 균일하게 사용하고 돌들이 작은 곳에서만 사용한다.
돌들이 클 경우에는 브레이크를 잡지 말고 중력으로 그냥 속력을 유지한다. 바위 사이를 브레이크를 잡은 채로 주행할 경우 사고가 생길 수 있다.
6. 절대 포기하지 말라. 앞 타이어가 완전히 멈추었다 하더라도 계속 페달을 밟고 바위 길을 다 지나서는 쉬운 길이었다고 생각하고 뒤를 돌아보지 않는다.
* 크게 갈라진 틈 뛰어 넘기
크게 갈라진 틈을 점프하는 것은 스텝-업(step-up)(제1편 참조) 동작을 숙달하고 나면 아주 쉽다.
1. 적당한 속도를 정한다.
2. 틈에 다달으면 몸을 뒤로 젖히고 핸들을 당기면서 앞 바퀴를 트레일에서부터 2 피트 정도 위로 든다.
3. 틈 건너편에 자전거가 닿을 때 몸의 중심을 자전거 가운데에 둔다.
4. 뒷 바퀴에 무게가 가지 않도록 핸들 쪽으로 몸을 숙인다.
5. 틈을 넘어서는 뒤를 돌아보지 말고 속력을 내서 전진한다.
출처 : 원주굴렁쇠MTB클럽
글쓴이 : 김상범 원글보기
메모 :
'산악자전거 > MTB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MTB 테크닉 & 훈련 - 38 스탠딩 기술 따라해보기(자세히) (0) | 2010.04.22 |
---|---|
[스크랩] MTB 테크닉 & 훈련 - 37 브레이킹 테크닉 기본 요령 (0) | 2010.04.22 |
[스크랩] MTB 테크닉 & 훈련 - 35 도로주행의 안전수칙 (0) | 2010.04.22 |
[스크랩] MTB 테크닉 & 훈련 - 34 페달링 훈련법 (0) | 2010.04.22 |
[스크랩] MTB 테크닉 & 훈련 - 33 자전거 잘타는 훈련법 (0) | 2010.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