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악자전거/MTB교실

업 & 다운 스트로크 와 하사점 패달링

홀로산꾼 2013. 12. 26. 21:46

<< & 다운 스트로크 와 하사점 패달링 >>

 

 

**** 간단히 정리 (어렵다는 분이 계셔서 3단계로 정리했습니다.)***

   다운 스트로크에서 원을 그리듯이 밀어 누른다.

   → 하사점 페달링에서 신발 밑에 껌을 떼듯이 뒤쪽으로 당긴다.

   → 업스트로크에서는 발이 하사점을 통과하자마자

             단순히무릎을 핸들바 방향으로 움직이는 느낌으로 진행한다.

     (찍어 누르듯이 페달링하지말고 물흐르듯이 원을 그리라는 얘기죠!!!)

 

    그래도 이해가 안되시면!!!! 머리로 생각하지 마시고

             지금 페달을 한번 밟아 보시죠. 원을 그리듯이!

                     그러면 아! 이거구나 하고 이해되실겁니다. 파이팅

1. 다운 스트로크(1 방향부터 시작)

   대퇴사두근을 사용하여 페달을 아래쪽으로 밀어 누르는 동작입니다.

   흔히 초보자들은 아래 쪽으로 찍어 내리듯이 누르는 경우가 있는데 원을 그리듯이

   좀 더 부드러운 연결동작이 필요합니다.

 

 

헤르메스 생각)

    제가 지금보다 더 초보때 산신령 한분이 다운 스트로크는 11 부터 시작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좋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업스트로크와 다운스트로크 사이에 멈칫하는 버릇을 없애고 좀 더 완전한 원을

    만들어야 한다는 의미일까요?

    아직 깨달음이 더 필요한 것 같습니다.

 

2. 하사점에서의 페달링 (5~7)

    페달이 가장 아래 쪽에 도달하면 발을 지면에 평행하게 놓고

      뒤쪽 방향으로 끌어 당기는 동작이 필요합니다.

    신발창에 붙은 껌을 떼어 내는 동작을 연상하면 됩니다.

    종아리와 발목의 근육이 주로 사용됩니다.

    이 역시 원을 그리듯이 그리고 물 흐르듯이 다음 동작과 부드럽게 연결되어야 하겠지요.

    (다운 스트로크 후 곧바로 업스트로크 하지 말라는 의미입니다.)

  

 

 

 

3. 업 스트로크

    위로 끌어 올리는 것을 생각하지 않고도 탈 수 있어야 한답니다.

    발이 하사점(5~7)을 통과하자마자 단순히무릎을 핸들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훨씬 효과적입니다.

     엉덩이 굴근(엉덩이쪽 당기는 근육을 사용합니다.)

     이때 수직으로 위로만 끌어 당기면 업 스트로크가 원형 보다는 사각형으로 변하기 때문에 잘못될 동작이 됩니다.

     업 스트로크의 주된 목적은 페달에 걸리는 하중을 가볍게(Zero에 가깝게하는 동작으로

     다운 스트로크하는 반대편 다리에 부하를 덜어 주어 보다 강력한 다운 스트로크

     (반대편 다리가 누르는 동작) 유도합니다.

     Tip) 다운 스트로크보다 업 스트로크의 힘을 강하게 할 수는 없습니다.

            누르는 힘(다운스트로크) : 당기는 힘(업스트로크) = 7 : 3의 비율이 적당.

    

4. 최 상위점  

     업 스트로크를 최 상위점까지 수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흔히 클릿신발을 신지 않은 분들의 실수는 업스트로크를 하다가도 11 정도에서

     업스트로크를 멈춘다는 것입니다.

     11 방향에서 1 방향까지도 업 스트로크의 연속적인 당기기 동작을 유지하는

     것이 물 흐르는 듯한 원형운동을 만들고 강력한 다운 스트로크를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Tip) 다운 스트로크에서 휘리릭 생각에 언급했던 산신령 말씀처럼

       11 방향 부터 다운 스트로크를 한다는 말씀이 이런 의미였던 것 같네요.

'산악자전거 > MTB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룩 S-TRACK 페달  (0) 2014.01.08
체인!!!  (0) 2013.12.27
How To Build a Bicycle Wheel .  (0) 2013.12.19
How to Lace a Wheel - Three cross pattern .  (0) 2013.12.19
Wheel lacing  (0) 2013.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