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산/산악용 GPS 활용법

GTM 따라하기 (왕초보용) -3. GTM 편집

홀로산꾼 2015. 10. 26. 17:35

GTM 따라하기 (왕초보용) -3. GTM 편집

GPS 2010.07.07 16:01

GTM에 노고단.gtm,지도와 한신지곡.gtm 트랙이 있는 상태에서

[파일추가] (merge file) 누르고 아까 저장해 놓은 중산리.gtm을 불러옵니다.

그런데, 중산리트랙을 추가 하니 트랙이지도 밖으로 빠져 나갑니다.

그림010

 


당연히 노고단도엽의 오른쪽 지도가 필요하겠지요.

노고단 우측은 삼장(대성) 입니다.

[파일추가] 누르고 삼장(단성).gtm을 불러옵니다.

그러면, 노고단 지도 우측에 삼장(단성)지도가 추가됩니다.

어케 아냐고요? (5만 지형도 도엽은 별도 입니다)

국토지리정보원의 25000 지형도 도엽 중, 지리산권입니다

그림011

 

(푸른색은 태극종주 트랙입니다)



필요한 도엽명을 확인하고 해당 도엽을 불러오면 됩니다.

[열기] 누르면 안되고요... [파일추가] 버튼을 눌러 불러와야 합니다.

이런식으로 도엽이나 트랙파일이나 계속 [파일추가]로 보탤 수가 있는데요

무한정으로 보태다가는 어느 순간 컴퓨터가 뻗어버릴 수가 있으니, 알아서들 하시기 바랍니다.

[지도삭제]

삭제 하고자 하는 지도 위에 마우스 클릭 → Remove Image

그림012

 

[파일추가] 사리 도엽을 보탰습니다


트랙편집을 해 보겠습니다

(계획) 한신지곡으로 올라, 향적사지 들렀다가, 상봉으로 치밭목으로 유평으로 내려가보자...

한신지곡, 중산리 두 개의 트랙을 최대한 살려서 새로운 트랙을 만들고자 합니다

GTM 프로그램에서 위 (그림012)까지 만듭니다

빨간(굵은) 트랙과 가는트랙을 이어 붙어야 하는데 작업 순서는,

1. 빨간트랙 제석봉 지점을 절단

2. 가는트랙 천왕봉의 王자 아랫부분을 절단

3. 두 지점을 연결

4. 나머지 트랙을 삭제

5. 완성된 트랙 확인까지입니다.... 차례로 진도 나갑니다

1. 굵은트랙 제석봉 지점을 절단

절단낼 지점을 최대한 확대 → 마우스로 한번만 쿡~, 찍는다 → 점하나 생기면 → 컴퓨터 Delete

- 확대하면 배경지도가 없어진 것 같이 백지가 되기도 하나, 축소하면 다시 살아남

- 잘못 Qook 했을 때는 트랙없는 여백에 Qook 하면 선택이 해제된다.

그림013

 

Qook 했다가 Delete하니 절딴났다.


2. 가는트랙 천왕봉의 王자 아랫부분을 절단

위와 같은 방법

3. 두 지점을 연결

작업의 편의상, 해당없는 트랙을 먼저 삭제한다

제석봉에서 장터목으로 가는 트랙과 통신골쪽 트랙을 마우스로 각각 따블클릭하면 트랙상에 붉은 점이 쫘악~ 생긴다.(대상이 선택된 상태)

그림014

 


컴퓨터 Delete 키를 누르면 삭제된다.

그림015

 

사용할 트랙만 남고 씨잘데없는 트랙은 지워졌다


이제 두 지점을 연결한다

마우스 포인트로 [직선툴]을 선택하면 마우스포인트가 연필모양으로 바뀐다

제석봉 끊긴 지점 끝부분에 연필(마우스)을 살짝 갖다대면 동그란 포인트가 생긴다 (안생기면 다시 떼었다 접근).

이때 마우스 왼쪽 버튼을 한번 찍고, 천왕봉으로 이동하면 직선이 딸려온다.

이 직선 상태에서 천왕봉쪽 연결할 지점 끝에 마우스를 갖다대면, 역시 동그란 포인트가 생긴다.

이때 마우스 왼쪽을 찍어주면 두 트랙을 연결할 것인가 말것인가 물어본다

(묻지도 않고 따지지도 않으면, 제대로 못찍은거다)

(트랙의 맨 끝에 갖다대야 하며, 트랙의 중간에 갖다 대놓고 찍으면 연결이 안된다)

그림016

 

(The new Track is... ... 연결 할래? 말래?)


[예(Y)]를 선택하면 연결이 된다.

두 트랙이 직선으로 연결이 되고, 색깔이 먼저트랙의 색(굵기)으로 변한다.

색이 같아지지 않으면 제대로 연결되지 않은 것임.

5. 완성된 트랙 확인

마우스 포인트를 [기본툴]로 바꾸고, 배율을 적당히 조절

트랙을 따블클릭하면 전체가 빨간색 동그라미로 덮힌다 (일부만 될 경우 연결 안 된것임)

그림017

 


이 상태에서 상단 툴바 [거리] 눌러 24.864km 확인, 왼쪽의 [고도] 눌러 고도 확인

※ (그림017) 상태에서 현재까지 작업내용을 한번 저장해 준다(※다른이름으로 저장) → 다음에 활용

그림018

 


필요없는 waypoint 등은 마우스로 클릭하여 Delete 삭제

위와 같이 하여 작성한 트랙을 GPS에 전송하고자 한다면

[다른이름으로 저장] → 파일형식을 gpx로 지정 → 파일이름을 영문(숫자)으로 변경하여 저장

GPS기종마다 전송방법이 다르므로 여기서는 생략함

트랙그리기 연습

[직선툴] 선택 → 아무지점에나 클릭 → 2지점 클릭 → 3지점 클릭... 클릭, 클릭하면서

트랙을 작성하여 전체 길이 측정

[곡선툴] 선택하여 아무렇게나 그려본다. 마우스 누른 채 그리기.

[기본툴] 선택 → 트랙 더블클릭 → 삭제

이런 방식으로, 다른 사람의 GPS 트랙을 다운받아 GTM에 띄워놓고

분석하거나 편집하여 나름의 트랙을 작성한다.

[별도Tip]

확대 축소 : 키보드 우측 +. - 버튼

이동 : 키보드의 화살표

지도를 그림(image)으로 저장 : 지도위에 마우스 클릭 → Save Image As...

.gtm 파일은 내컴퓨터에 GTM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 파일클릭- 자동으로 GTM 실행되면서 열린다

.gpx 파일은 내컴퓨터에 저장한 후, GTM프로그램을 먼저 실행하고 불러오기 해야 열린다.

가민 전용프로그램인 '맵소스'에서 작성된 *.gdb 파일은 GTM에서 열리지 않는다.

(가민유저들에게 바라노니~, 게시판에 트랙 올릴 때, gpx로 변환하여 올려주333)